농식품부, ‘국제농업협력사업 종합계획’ 발표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모델 10개 이상 확보 케이(K)-라이스벨트 등 농업브랜드 국제사회 정착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제농업협력사업을 통해 협력국의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한국 농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을 담은 ‘제1차 국제농업협력사업 종합계획(2025~2029)’을 11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서 정부는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해 농업 전후방산업 관련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모델을 2029년까지 10개 이상 확보하고 협력 대상 국가도 50개국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기업의 국제농업협력사업 참여를 활성화해 사업 성과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국제기구와 협업을 통해 사업리스크를 줄인다는 구상이다.
기업의 국제농업협력사업 참여 확대를 위한 정부 지원도 병행한다. 민관 상시 협력 채널을 구축해 기업 수요에 기반한 민관 협업모델을 함께 발굴해나간다. 국제기구 사업에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와 컨설팅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ODA와 연계해 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시장조사, 전시포 운영, 홍보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식량원조와 케이(K)-라이스벨트 등 국제사회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대표 사업을 고도화해 케이(K)-농업브랜드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쌀 식량원조사업은 지원 국가와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품목도 다양화한다. 세네갈·감비아·가나 등 아프리카 동서부 중심으로 추진된 케이(K)-라이스벨트사업은 남부로 확대하고 쌀 전후방산업, 농촌 생활환경 개선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협력국의 자립 기반을 강화하는 농업 가치사슬에 대한 전(全)주기 지원도 강화한다. 그동안 단발적으로 추진된 국제농업협력사업을 협력국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토대로 제도 정지, 생산기반 구축, 가공·유통 활성화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해 자립 기반 구축에 기여한다.
농식품부는 국제협력사업 전담 조직을 통해 이같은 구상의 실행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농식품부 내 신설한 글로벌농업개발추진팀을 통해 사업 기획·관리, 성과관리와 홍보 등을 추진하고, 한국농어촌공사·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등을 국제농업협력사업 전문 지원기관으로 지정해 운영할 방침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관계 부처, 국제기구, 민간과 협력해 사업성과를 확산하고, 국격을 제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민우 기자 minwoo@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