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학교급식이 학생수 부족 등으로 위기다. 교육부의 초·중·고등학교 학생수 추계를 보면 2024년 35만4000명이었던 초등학교 입학생이 올해는 32만7300명으로 줄고 2030년엔 23만5000명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이렇게 학령인구가 급속히 줄어드는 가운데 친환경식자재로 학교급식 질을 계속 높여가는 도시와 달리 농촌에선 질적 하락에 더해 급식업체 확보 난항으로 존립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실제로 전교생이 10여명에 불과한 전북 순창의 한 초등학교는 점심시간이면 인근 초등학교에서 급식이 배달되길 기다려야 한다. 이 사례처럼 인접한 학교로부터 ‘급식 배달’에 의존하는 현상이 벌어진 건 급식 인원 급감으로 수익을 맞출 수 없는 민간업체들이 발을 빼서다. 농촌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한 영양사는 “학생수가 50인 이하인 학교는 급식 입찰에 참여할 수조차 없는 상황”이라고 현실을 전했다.
특히 어렵게 학교급식을 제공하는 곳도 적절한 가격에 식자재를 확보하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급식에 필요한 적정수를 밑돌다 보니 기본단가가 크게 올라가 급식의 양과 질 모두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적정수가 확보되면 한끼에 6000원이 소요되는데 학생수가 적은 농촌에선 1만원을 호가하는 데다 부식 등의 선택권도 크게 제한된단다. 심지어 민간 업체가 급식을 중단하자 부모들이 직접 식자재 조달에 나서는 곳도 있다. 영농철로 접어들며 농사에 매진해야 할 학부모들이 자녀 급식에 매달려야 하니 어려움은 가중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민간 업체 위탁 대신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중심으로 농촌 학교급식의 공적 조달체계를 강화하는 게 대안이라고 본다. 2010년대 초반부터 설립된 급식지원센터가 지자체의 공공급식 지원조례 제정 등과 함께 먹거리통합지원센터로 전환한 뒤 오랜 경험을 통해 상당한 노하우를 축적한 곳도 적지 않다. 이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 양질의 급식을 제공한다면 그 자체가 농촌 학교를 살리는 방안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