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삶의질 기본계획은?…일자리↑ 생활인구↑ 공공서비스↑
입력 : 2025-03-20 16:03
수정 : 2025-03-21 05:00
제5차 농촌 삶의질 기본계획 ‘윤곽’ 
인구소멸지역 규제 완화하고 
‘농산업혁신벨트’ 사업 적극 추진 
청년주택 확대 등 공간계획 수립 
‘이동장터’로 식품사막 해소 기대 
‘농촌 왕진버스’ 늘려 의료지원도
18일 경기 포천시 가산면에서 진행된 ‘농촌 왕진버스’ 진료 현장. 주민들이 운동 처방을 받고 있다.

정부가 올해 농촌 복지 정책을 확대 추진한다. 의료 사각지대를 찾아가는 ‘농촌 왕진버스’ 사업 대상자를 늘리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해 농촌 주민 삶의 질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8일 경기 포천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통해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송 장관은 “모든 부처가 협력해 수립하는 ‘제5차 농촌주민 삶의 질 기본계획’은 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생활인구 증대, 공공·생활 서비스 확대 등 세가지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인구소멸지역의 규제 완화를 제시했다. 예컨대 농촌 어메니티(amenity·쾌적함 혹은 농촌다움)를 이용한 치유산업을 통해 관광 수요를 늘릴 수 있도록 농촌민박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농산업 거점을 조성하는 ‘농산업 혁신벨트’ 사업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최근 1호 거점으로 선정된 경남 하동군은 사업비 40억원을 지원받는다. 송 장관은 “경제적인 문제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부가적인 삶의 질 향상에도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이) 관심을 갖고 따라올 수 있다”고 말했다.

생활인구와 함께 정주인구를 늘리기 위해서 139개 시·군의 공간계획을 수립하고 2029년까지 청년 보금자리 주택을 늘려갈 방침이다. 농식품부가 2024년부터 추진해온 ‘농촌체류형 복합단지’는 이달 중 대상지역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자체 12곳이 공모에 참여했고 이 중 3곳이 선정될 전망이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8일 포천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농촌복지 정책 등을 설명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송 장관은 4월부터 본격 시행되는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사업도 소개했다. 통계청이 집계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3만7563개 행정리 가운데 2만7609곳(73.5%)에 음식료품 소매업이 없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송 장관은 “농촌지역에 찾아가는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가 ‘식품사막’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보였다.

농식품부는 이밖에 농촌형 교통 모델과 농촌 가사생활서비스 등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간담회에 앞서 송 장관은 이날 포천시 가산면에서 진행된 ‘농촌 왕진버스’ 진료 현장을 찾았다. 의료진이 직접 읍·면·동 지역을 방문해 양·한방 진료와 구강 검사, 검안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올해 대상 인원이 지난해(9만명)보다 65% 늘어 약 15만명에 이른다. 고령층에 맞춰 골다공증·치매 검진과 근골격계 질환 관리가 추가로 지원된다. 거동이 어려운 주민을 위한 재택 방문 진료도 시범 운영된다.

송 장관은 “가랑비에 옷이 젖듯 소소하지만 생활에 밀접한 정책이 (농촌 주민의 일상에) 스며들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포천=지유리 기자 yuriji@nongmin.com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