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골칫거리 ‘말벌집’ 드론으로 퇴치
입력 : 2024-08-29 17:03
수정 : 2024-08-30 05:00
농진청, 방제기술 시연회 개최 
기존 화염방사 방식 위험 높아 
탄환 발사 벌집 뚫고 약제 분사 
여왕벌·유충 등 99% 제거 가능
12_01
전북 전주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드론 활용 말벌집 퇴치기술 현장연시회’가 열리고 있다. 농촌진흥청

유례없는 폭염에 말벌 개체군이 크게 늘면서 농촌과 도시 할 것 없이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말벌집을 드론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퇴치하는 기술이 개발돼 눈길을 끈다.

소방청이 최근 펴낸 ‘2024 소방청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안전과 관련한 출동 건수는 모두 61만1054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벌집 제거 목적은 23만2933건(38.1%)으로 1위를 차지했다.

벌 쏘임 사고는 올들어서 더욱 늘었다. 소방청에 따르면 올 1∼7월 발생한 벌 쏘임 사고는 2815건으로 전년 동기(2011건) 대비 40% 증가했다. 김종복 한국양봉협회 전북지회장은 “올봄부터 여름까지 평균기온이 올라가면서 등검은말벌 등 외래종 말벌의 활동 시기가 당겨졌다”며 “여기에다 토종 말벌 개체수도 증가해 양봉농가들이 골치를 썩고 있다”고 전했다.

농촌진흥청이 27일 전북 전주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개최한 말벌 퇴치 실증 시연회가 주목되는 배경이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한농대가 함께한 시연회엔 서효원 농진청 차장, 유윤종 에어퓨처 대표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전북소방본부·농민단체 관계자 등도 자리를 함께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7월부터 왕성하게 활동하는 등검은말벌은 10m 이상 높은 곳에 집을 지어, 이를 제거하려면 고소작업차에 올라야 한다. 한여름에도 높은 곳에서 두꺼운 보호복을 입고 화염방사로 방제해야 해 위험 부담이 크다. 하지만 드론을 활용하면 최대 5m 떨어진 차량 등 실내에서 안전하게 방제할 수 있다.

현장에서 선보인 드론은 모형 벌집을 향해 옥수수전분으로 만든 탄환을 발사했다. 탄환은 벌집 표면에 구멍을 뚫고 내부에 방제 약제를 자동으로 뿌렸다. 약제는 제충국·꿀벌추출물과 개미산 등 환경친화적 소재로 만들었다.

홍순중 한농대 농업기계전공 교수는 “탄환이 식물 성분으로 만들어져 6개월∼1년 내 토양에서 생분해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말벌집 윗부분을 탄환으로 타격해 구멍이 난 부분에 약제를 뿌리면 투입된 약액이 밑으로 흘러내리며 여왕벌과 유충 등 말벌을 99% 방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농진청은 시연에 사용된 드론을 개발해 특허 등록을 마쳤다. 드론엔 벌집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감지기를 비롯해 벌집에 과녁을 형성하는 레이저 장치, 탄환을 발사하는 타공 장치, 약액을 분사하는 살포 장치가 장착돼 있다.

시연을 지켜본 전북소방본부 관계자는 “7월 전북에서만 말벌 관련 신고 건수가 3000건이 넘었다”면서 “말벌은 도시 근교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고 있어 말벌집 퇴치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양봉농가들은 말벌집에 직접 살충제를 살포해 방제 효과를 높인 점에 주목했다. 앞서 한농대가 6∼7월 양봉농가 135곳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술 도입 의향 선행조사에서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70.4%(95곳)였다. 해당 기술은 농진원이 진행하는 ‘농업 신기술 산학협력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체에 이전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현재는 한농대의 홍 교수팀과 협력해 제주를 제외한 전국 8개 도농업기술원에서 현장 실증 중이다.

한계점도 지적됐다. 전북 군산에서 벌을 키우는 김상욱씨(48·대야면)는 “3년 전 시작한 해당 기술 시연회를 매년 찾는데, 방문 때마다 기술이 날로 발전한다는 느낌을 받는다”면서도 “적외선 온도센서를 활용해 말벌집을 추적하는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해 기술을 보완한다면 양봉농가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상봉 농진청 밭농업기계화연구팀 과장은 “드론 등 무인 농작업 기계 개발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전주=조영창 기자

댓글 0